취업과 진로에 관한
다각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삶의 질은 풍요롭게
삶의 태도는 진취적인
대한민국을 만들겠습니다.
Home ❯ 학회지 ❯ 취업진로연구 게재논문
취업진로연구 게재논문

디자인계열 전문대생의 취업준비행동과 취업준비장벽에 관한 연구

논문저자 : 정선정, 이순행, 이현민        발행년도 : 2024년3월        권 호 : 제14권제1호       
DOI : http://dx.doi.org/10.35273/jec.2024.14.1.001

첨부파일

본문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 등으로 인해 창의성에 기반한 직무역량이 요구되는 현시점에 대학생의 취업준비 상황과 장벽을 재조명해 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수업연한이 짧아 취업준비에 큰 부담감을 가지며, 공무원 시험이나 자격증 등 정해진 경로에 의한 취업준비보다는 창의적인 작품활동에 많은 영향을 받는 디자인계열 전문대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어떠한 취업준비행동을 수행하며, 취업을 준비하는 데 겪는 어려움과 힘든 점은 무엇인지 등 그들의 취업준비 현상을 포괄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의 디자인 대학 최종학년 34명의 취업준비행동과 수준 및 노력, 진로상담, 어려움 등을 조사하고, 폐쇄형 응답자료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개방형 응답자료는 질적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론은 첫째, 디자인계열 전문대생의 취업준비 활동은 평균 5건으로, 절반 이상이 학점관리(67.6%)와 디자인툴 공부(64.7%), 졸업작품 준비(55.9%), 포트폴리오 제작(52.9%), 공모전 준비(52.9%) 등에 참여하였다. 둘째, 디자인계열 전문대생의 취업준비 수준과 노력(10점 기준)은 각 5.38, 5.61로 보통 이내 수준이었다. 취업준비 노력이 부족한 이유는 대부분 학업과 아르바이트 병행으로 시간 부족을 호소하였고, 아르바이트를 하지 않더라도 학업과 졸업작품, 현장실습 등 짧은 수업연한 동안 다양한 활동을 수행해야 하는 절대적인 시간 부족을 호소하였다. 셋째, 진로상담을 받은 학생은 61.8%, 4.4개 유형의 상담자로부터 상담을 받았다(친구 73.5%, 교수 64.7%, 가족친척 52.9%, 지인 38.2%, 선배 26.5%, 업계전문가 11.8% ). 넷째, 취업준비 어려움에 대한 폐쇄형, 개방형 응답을 취업준비 장벽으로 범주화한 결과, 취업정보 부족, 진로명확성 부족, 진로미결정(취업분야 미결정, 취업·진학 미결정), 직업비전 불확실성, 전공흥미 부족, 경제적 어려움, 나이가 어려 다양한 경험 희망, 대인관계 어려움, 전문대 수업연한이 짧아 시간 부족, 디자인 실력과 자신감 부족, 학업매진으로 에너지 고갈, 이력서·자소서·면접 어려움, 취업필요성 인식 부족, 혼자서 취업준비 어려움, 기타 군문제 및 영어공부 등 15개 장벽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의의는 취업준비 관련 진단도구에 가려져 있는 대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과 장벽을 포괄적으로 탐색하였으며, 특히 취업준비장벽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디자인계열 전문대생의 새로운 취업준비장벽(디자인 장벽, 번아웃 장벽) 도출은 다양한 후속연구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주제어취업준비행동, 취업준비장벽, 전문대생, 디자인계열, 질적분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한국취업진로학회의 게재논문입니다.
제목을 클릭하시면 국문초록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하단의 검색하기를 통해 발행년도, 논문제목, 저자, 국문초록내용으로 검색이 가능합니다.
게시물 검색

온라인 논문투고

온라인 논문심사

개재비, 회비안내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