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구직효능감 및 진로성숙도 변화와 자아존중감의 관계
DOI : http://dx.doi.org/10.35273/jec.2023.13.3.002
첨부파일
본문
대학생 시기는 진로 발달에서 자신의 진로를 결정 및 선택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현실적으로 대학생은 진로와 취업에 대한 고민이 많으며, 진로 설정이나 구직행동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대학생들이 자신의 취업불안을 해소하고 진로준비행동을 강화하는 데 진로성숙도와 구직효능감은 중요한 변인이며, 대학생 시기 동안 진로성숙도와 구직효능감의 향상은 실질적인 구직성과로 귀결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생의 구직효능감과 진로성숙도의 변화궤적을 파악하고 두 변인 간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하였으며, 예측변인으로서 자아존중감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YP2007) 12~14차 자료를 활용하여 773명의 대학생 데이터를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우리나라 대학생의 구직효능감은 대학 초기에는 유지되다가 3년 차에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의 구직효능감이 변화한다는 것이 실증적으로 구명되었다. 둘째, 진로성숙도는 시간에 따른 변화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개인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변화양상이 다르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구직효능감 초기치는 진로성숙도 초기치와 변화율에, 구직효능감 변화율은 진로성숙도 변화율에 각각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의 진로발달에서 이들 변인의 변화를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넷째, 대학 초기 자아존중감은 구직효능감 초기치와 변화율에, 진로성숙도 초기치에 각각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구직효능감과 진로성숙도의 예측변인으로 효과를 가지며, 특히 대학 초기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연구 결과의 시사점은 구직행동과 성과를 나타내고자 하는 대학생과 대학이나 경력개발센터 등에 대학 시기별로 진로 발달 변화양상에 따라 맞춤형 대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더불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진로발달과 취업역량을 제고시키는 방안을 논의하였고, 대학의 경력개발 프로그램 효과 검증, 대학생의 특성을 반영한 종단연구 수행방안을 제언하였다.
주제어: 구직효능감, 진로성숙도, 자아존중감, 진로발달,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