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과 고용가능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DOI :
첨부파일
본문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소재한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과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고용가능성을 측정하고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을 매개로 자아존중감과 고용가능성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학생 776명을 대상으로 사전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매개 효과 검증을 위한 회귀분석 방법과 Sobel Test를 통해 취합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기초 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그리고 연구의 가설을 검증한 결과,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고용가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의 상관을 보여 자아존중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은 대학생이 고용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매개변수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자아존중감과 고용가능성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매개변수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그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자아존중감 자체가 고용가능성을 증가시키기도 하지만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에 의해서도 고용가능성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외 연구에 비해 국내 연구가 미진했던 고용가능성을 탐색하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고용가능성의 매커니즘을 파악할 수 있는 실증적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진로 및 취업 관련 연구가 스트레스와 같은 부적 정서 완화에 중점을 두는 반면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다룸으로써 개인의 발달과 성장을 지원하는 강점관점에 근거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고용가능성의 핵심 구인인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원 방안의 마련과 취업이 중요시되는 전문대 학생들의 고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진로 교육 실시를 제언하였다. 특히 대학은 학생들에게 취업시장의 현실을 파악할수 있도록 하는 실용적인 교육과 일 기반(work-based)교육을 제공하여 노동시장에서 활용할 수 지식과 기술,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함과 대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진지하게 고민하고 성찰할 수 있는 진로 지원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지원해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주제어:자아존중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고용가능성, 일 기반 교육, 매개 효과.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