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훈련방식 전환 기초컨설팅 만족도 조사와 개선방안 연구
DOI : http://dx.doi.org/10.35273/jec.2025.15.1.001
첨부파일
본문
디지털 전환 시대와 에듀테크 트렌드의 확산에 따라 직업훈련 방식의 혁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훈련기관의 새로운 훈련방식 전환을 지원하는 기초컨설팅의 효과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
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초컨설팅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훈련기관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효 응답자료(296명)에 대해 기술통계, 회귀분석, 질적분석을 수행하였
다.
주요 결론은 첫째, 기초컨설팅의 운영서비스(4.56), 교육서비스(4.71), 전반적 만족도(4.77), 이해도
(4.65), 현업적용 예상도(4.59)는 매우 높았다. 둘째, 훈련기관의 전반적 만족도, 이해도, 현업적용 예상
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진행과 교육장소였지만, 이해도와 현업적용 예상도로 갈수
록 그 영향력은 조금 낮아진 반면, 이해도에는 교육수준이, 현업적용 예상도에는 교육수준과 교육내용
의 영향력이 높았다. 셋째, 훈련기관의 희망사항으로는 교육내용별로 심화과정을 희망하였고, 특히 생
성형AI는 참여자별 학습수준이 다르므로 분반을 희망하였고, 지역에 따라 강의장 개선을 제기하였다.
개선방안은 첫째, 기초컨설팅 교육내용을 구체적인 운영사례 중심으로 더 확대하고, 둘째, 생성형AI
교육에 대한 분반 운영이 필요하다. 셋째, 그룹교육으로 운영되는 기초컨설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현장컨설팅 연계를 제도화 하고, 넷째, 기초컨설팅 강의를 담당할 BHA(Best HRD Academy) 등 우수훈
련기관 소속 컨설턴트 확보가 더 필요하다. 다섯째, 하반기 기초컨설팅을 실시할 때는 넓고 쾌적한 강
의장 확보와 인터넷, 마이크 소리 등 교육시설ㆍ장비에 대한 체크가 필요하며, 여섯째, 기초컨설팅이
실제 현업적용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고 있는지 등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주제어: 직업훈련방식 전환, 기초컨설팅, 만족도 조사, 개선방안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