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과 진로에 관한
다각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삶의 질은 풍요롭게
삶의 태도는 진취적인
대한민국을 만들겠습니다.
Home ❯ 학회지 ❯ 취업진로연구 게재논문
취업진로연구 게재논문

은퇴적응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논문저자 : 강정희, 조항        발행년도 : 2024년12월        권 호 : 제14권제4호       
DOI : http://dx.doi.org/10.35273/jec.2024.14.4.006

첨부파일

본문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은퇴자와 은퇴자의 적응성을 측정하기 위한 은퇴적응성 척도를 개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은퇴적응성의 개념을 파악하고 구성요인을 도출하여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과정을 통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은퇴적응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는 문항 선정, 문항 개발, 문항 검정의 절차로 이루어졌다. 문항 개발 단계에서는 먼저, 1, 2차 전문가 패널 조사를 통해 은퇴적응성 및 구성요인의 개념에 대한 적절성과 101문항에 대한 타당성을 실시하였다. 구성요인의 적절성을 확보하고, 예비조사를 위한 57문항을 확정하여 300명의 예비은퇴자와 은퇴자를 대상으로 1차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43문항을 예비문항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2차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7가지 요인을 구성하고, 최종 31문항을 확정하였다.

문항 검정 단계인 본조사에서는 300명을 표집,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확인하였고, 준거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여 외적타당도를 확보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문항을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RMSEA0.064, RMR0.028, SRMR0.0601, CFI0.912, TLI0.901, IFI0.913으로 준수한 적합도를 갖추었음을 확인하였다. 준거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삶의 만족, 은퇴준비도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마지막으로 은퇴적응성 척도의 전체 신뢰도 계수는 .954로 확인되었고, 하위요인의 신뢰도는 .801.880로 확인되었다.

 

주제어 : 은퇴적응성, 은퇴자, 척도개발, 척도타당화, 은퇴상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한국취업진로학회의 게재논문입니다.
제목을 클릭하시면 국문초록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하단의 검색하기를 통해 발행년도, 논문제목, 저자, 국문초록내용으로 검색이 가능합니다.
Total 318건 1 페이지
취업진로연구 게재논문 목록
발행년도 권호 논문제목 논문저자 다운로드
2025년06월 제15권제2호 대학생의 개인적 진로 자원이 긍정심리자본을 통해 취업 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지혜 이신복
2025년06월 제15권제2호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거점형 특화프로그램 발전모델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송수종 이종구
2025년06월 제15권제2호 전공전환 대학생의 학업적응 및 진로탐색 과정에 대한 연구 유현주 정혜원
2025년06월 제15권제2호 직업계고졸 취업자의 교사관계, 취업지원만족도,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및 괜찮은 일자리 간 경로분석 전지연 이진규 안희경
2025년06월 제15권제2호 대학생의 기업가 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창업자기효능감, 창업태도의 매개효과 이희정
2025년06월 제15권제2호 프론티어 경력 태도와 진로 결정수준 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 및 조절 효과 탐색: 간호대학생을 … 안성식 박인숙
2025년06월 제15권제2호 직업상담사의 사회정의 옹호상담 인식과 실천에 대한 합의적 질적연구 이은영 신영주 안윤정
2025년03월 제15권제1호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학생의 전공 선택에 관한 연구: 국립대학을 중심으로 이재환
2025년03월 제15권제1호 청년 커리어 포트폴리오 구성, 작성 및 활용 방안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기업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이영광
2025년03월 제15권제1호 무용 전공자의 새로운 진로 탐색: 콘텐츠 크리에이터 채수정
게시물 검색

온라인 논문투고

온라인 논문심사

개재비, 회비안내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