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적응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OI : http://dx.doi.org/10.35273/jec.2024.14.4.006
첨부파일
본문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은퇴자와 은퇴자의 적응성을 측정하기 위한 은퇴적응성 척도를 개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은퇴적응성의 개념을 파악하고 구성요인을 도출하여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과정을 통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은퇴적응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는 문항 선정, 문항 개발, 문항 검정의 절차로 이루어졌다. 문항 개발 단계에서는 먼저, 1, 2차 전문가 패널 조사를 통해 은퇴적응성 및 구성요인의 개념에 대한 적절성과 101문항에 대한 타당성을 실시하였다. 구성요인의 적절성을 확보하고, 예비조사를 위한 57문항을 확정하여 300명의 예비은퇴자와 은퇴자를 대상으로 1차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43문항을 예비문항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2차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7가지 요인을 구성하고, 최종 31문항을 확정하였다.
문항 검정 단계인 본조사에서는 300명을 표집,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확인하였고, 준거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여 외적타당도를 확보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문항을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RMSEA는 0.064, RMR은 0.028, SRMR은 0.0601, CFI는 0.912, TLI는 0.901, IFI는 0.913으로 준수한 적합도를 갖추었음을 확인하였다. 준거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삶의 만족, 은퇴준비도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마지막으로 은퇴적응성 척도의 전체 신뢰도 계수는 .954로 확인되었고, 하위요인의 신뢰도는 .801∼.880로 확인되었다.
주제어 : 은퇴적응성, 은퇴자, 척도개발, 척도타당화, 은퇴상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