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특성을 반영한 개방형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 영역별 중요도 분석
DOI : http://dx.doi.org/10.35273/jec.2024.14.2.006
첨부파일
본문
이 연구에서는 워크넷을 통해 제공되고 있는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을 개선하기 위한 일환으로 사용자가 직업정보의 생산 및 전달 과정에 참여하는 개방형 한국직업정보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와 더불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직업정보 영역에 대한 청년층의 중요도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층 410명의 응답 데이터를 수집하여 성별, 연령, 최종학력 및 종사여부를 기준으로 집단을 각각 구분하였으며 AHP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형 한국직업정보시스템 세부영역 중 대영역 단위에서는 노동시장 정보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하위 영역 단위에서는 업무정보 영역에 해당하는 직업정보들의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응답데이터를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했을 때도 집단별로 노동시장 정보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중요도 인식 수준을 보였다. 반면, 근로자 정보에 해당하는 세부 직업정보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중요도를 낮게 인식하였다. 셋째, 응답자들은 개방형 한국직업정보시스템에서 새롭게 제안된 일부 직업정보에 대해서도 중요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함으로써 청년층의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신규 직업정보 영역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학문적, 실천적 제언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형 한국직업정보시스템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 차원에서 청년층 사용자들이 개방형 한국직업정보시스템 내 세부 직업정보 영역들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인구통계학적 특성 외에 청년층의 진로 및 경력 관련 변인을 추가한 집단 유형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개방형 한국직업정보시스템 확장성 차원에서 잠재적 사용자 집단을 확대하여 다양한 집단의 요구가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개방형 한국직업정보시스템 운영체계의 실현 가능성 확보 차원에서 시스템 개발 및 구축 전문가와의 협업이 수반되어야 한다.
주제어: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 직업정보, 청년층, AHP 분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