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과 진로에 관한
다각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삶의 질은 풍요롭게
삶의 태도는 진취적인
대한민국을 만들겠습니다.
Home ❯ 학회지 ❯ 취업진로연구 게재논문
취업진로연구 게재논문

중년기 창업여성의 진로전환 경험 연구

논문저자 : 노원재, 한재희        발행년도 : 2024년6월        권 호 : 제14권제2호       
DOI : http://dx.doi.org/10.35273/jec.2024.14.2.004

첨부파일

본문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 창업여성들의 진로전환경험과 전환과정의 본질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중년 창업여성들의 진로전환경험의 구조와 과정에 대한 실체이론을 구축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핵심 연구문제는 중년 창업여성의 진로전환경험은 무엇이며, 창업으로의 전환과정은 어떻게 이루어 가는가?’이다. 참여자들은 급여를 받던 직업에서 전환하여 창업을 한 18명의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StraussCorbin (2008/2001)이 제시한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30개의 개념과 58개의 하위범주, 2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중년 창업여성의 진로전환경험과 전환과정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핵심범주는 자율성상실로 무의미한 직업인생에서 진로전환을 통한 주체적 창업진로구축으로 조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중년기 창업여성의 진로전환과정은 시간 흐름에 따라 진로직업 한계인식단계’,‘전환의지 실행단계’,‘주체적 진로의 삶 추구단계’,‘진로 창업역량구축단계’,‘창업진로발전 변화단계5단계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중년 창업여성들이 진로전환 경험을 통해 창업을 이루는 진로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로써, 자신의 강점과 역량 활용을 통해 효능감을 인식하며 진로발달을 추구하는 자기성장의 삶의 경로임을 밝혀냈다. 창업여성들이 중년의 진로재건으로 자신의 일을 구축하기 위해 진로주체가 되어 주도적인 진로와 주체적인 삶을 추구하며 일을 통해 존재가치를 확인하는 개인의 주관적인 진로를 실현화하였다. 중년여성의 직장과 진로전환과정에서 진로와 연관된 심리문제가 삶의 전반에 영향을 끼치고 있었으며,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전환경로에서 창업커리어 구축에 이르는 어려움과 심리변화를 조명하여 기존의 여성관련 진로연구들을 확장시켰다. 중년 창업여성들의 진로전환경험과 진로경로를 통해 발견한 진로생애의 결과는 높아진 삶의 만족과 커리어충족감, 창업 커리어 개발노력을 통한 진로발전, 창업실현을 통한 진로의미생성으로 드러났다. 창업여성들은 진로전환경험과 중년의 진로 재설계를 통해 창업을 이루어 진로의 발전을 이루는 변화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참여자들이 진로전환 경험을 통해 진로역량을 재조직하여 일을 통해 자신의 가치를 드러내는 자기성장의 방향을 점검할 수 있는 적용방안을 도출함으로써 중년여성의 진로를 이해하고 돕는 유의미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창업여성, 진로전환, 진로구성, 근거이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한국취업진로학회의 게재논문입니다.
제목을 클릭하시면 국문초록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하단의 검색하기를 통해 발행년도, 논문제목, 저자, 국문초록내용으로 검색이 가능합니다.
Total 318건 3 페이지
취업진로연구 게재논문 목록
발행년도 권호 논문제목 논문저자 다운로드
2024년12월 제14권제4호 생성형 인공지능 도입에 따른 디자이너 직무 변화와 직업 인식의 재구성 후슬랭, 서지혜
2024년9월 제14권제3호 국내·외 커리어 포트폴리오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이영광
2024년9월 제14권제3호 무전공제 학생의 전공탐색 및 전공선택에 관한 질적 연구 : H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황영아
2024년9월 제14권제3호 MZ세대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진로정체감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진로정체감 매개효과를 … 김주안, 안성식
2024년9월 제14권제3호 중장년 고용가능성검사 개발 및 타당화 서현주, 김봉환
2024년9월 제14권제3호 성인의 생애역량 진단도구 개발 이종찬
2024년9월 제14권제3호 인공지능 도입에 대한 외부 압력이 인공지능 인식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 관련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 남상희, 박춘신, 문혜진
2024년9월 제14권제3호 국민내일배움카드 훈련생 만족도 조사도구 개발:실업자훈련을 중심으로 정선정
2024년6월 제14권제2호 은퇴자의 은퇴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김나연, 조항
2024년6월 제14권제2호 사용자 특성을 반영한 개방형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 영역별 중요도 분석 양인준, 이유진
게시물 검색

온라인 논문투고

온라인 논문심사

개재비, 회비안내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