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과 진로에 관한
다각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삶의 질은 풍요롭게
삶의 태도는 진취적인
대한민국을 만들겠습니다.
Home ❯ 학회지 ❯ 취업진로연구 게재논문
취업진로연구 게재논문

실직 남성의 진로장벽이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논문저자 : 조성순, 정소희        발행년도 : 2023년9월        권 호 : 제13권제3호       
DOI : http://dx.doi.org/10.35273/jec.2023.13.3.005

첨부파일

본문

고용시장의 불안정성과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사라진 현대 사회에서는 개인에게 실직 사건은 여러 번 발생 할 수 있다. 실직 사건은 개인에게 경제적인 어려움뿐만 아니라 심리적,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실직자의 재취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구직효능감이 인구사회학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실직 상황에 놓인 남성이 지각한 진로장벽이 정신건강을 매개로 구직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 지역의 실직 남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334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7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T검증,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실직 남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구직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결과 건강 상태, 종교, 월평균 가구 소득, 실업 급여, 실업 횟수, 실직 전 근무기간, 취업관련 자격증 수에 따라 구직효능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직 남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진로장벽, 정신건강이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중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업 횟수가 ‘4회 이상보다 적은 경우, 실업급여를 수령 중에 있는 경우, 취업관련 자격증이 1개 이상 보유하고 있는 경우 구직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건강 수준이 낮을수록 구직효능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장벽과 구직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신건강은 두 변수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실직 남성의 구직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실직 남성의 정신건강, 즉 불안, 우울, 사회적 부적응을 면밀히 관찰하고, 이들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는 접근이 매우 중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진로장벽을 감소시키기 위한 취업프로그램 개발과 실직자들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상담적 접근을 개발하고 보급할 것을 제안하였다.

 

주제어실직 남성, 진로장벽, 구직효능감, 정신건강, 완전매개효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한국취업진로학회의 게재논문입니다.
제목을 클릭하시면 국문초록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하단의 검색하기를 통해 발행년도, 논문제목, 저자, 국문초록내용으로 검색이 가능합니다.
Total 269건 1 페이지
게시물 검색

온라인 논문투고

온라인 논문심사

개재비, 회비안내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