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가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대인관계의 조절매개효과를 중…
DOI : http://dx.doi.org/10.35273/jec.2022.12.1.005
첨부파일
본문
최근 우리 사회는 ‘지식’이 시장에서 경쟁력의 중심이 되고, 핵심역량으로 작용하는 ‘지식기반 사회’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지식재산 창출의 요람으로서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 대학에서 현재 대학생들은 많은 혼란과 갈등을 경험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혼란 중 상당 부분은 진로와 관련된 문제이고, 그 문제는 본인의 적성이나 흥미를 간과한 채 성적이나 경제적 상황, 미래 취업 가능성 등에 중점을 두고 전공을 선택함에 따른 적성, 가치관 그리고 선택전공 간의 불균형에 따른 결과일 것이다. 정부 및 대학은 현재 대학생들의 전공불일치에 대한 문제를 소극적으로 대응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환경적, 심리적 요인들을 파악하여 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올바른 진로개발에까지 연결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의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환경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유·무형적 자원인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 사회적 요인인 대인관계의 조절효과까지 살펴봄으로써 환경적 요인, 심리적 요인, 그리고 대인관계와 같은 사회관계적 요소까지 종합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첫째, 사회적 지지는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미쳤고, 본 연구의 중요 매개변수인 자기효능감 역시 전공만족도에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전공만족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지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경우 대인관계가 조절된 매개효과로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본 결과, 사회적 지지 중 정서적지지와 사회관련 지지에서는 대인관계가 유의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냈지만, 도구적지지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전공불일치를 겪는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대학 및 사회적 차원의 대응방안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주제어: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전공만족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