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술과 기간·전략 분야 인력양성 프로그램 만족도 및 고용가능성 관계모형 비교
DOI : http://dx.doi.org/10.35273/jec.2022.12.1.001
첨부파일
본문
이 연구는 신기술과 기간·전략 분야 인력양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수자의 만족도와 고용가능성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구명하는 것으로, 각 분야별로 어떠한 변인들이 만족도와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관계모형을 비교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분야의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대표할 수 있는 고용노동부 사업(디지털 신기술 핵심 실무인재 양성훈련,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을 선정하고, 2021년 상반기 훈련현황 및 수강평 응답 자료(신기술 741명, 기간·전략 23,015명) 등을 확보하였다. 분석방법은 집단간 평균 차이분석과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론은 첫째, 신기술과 기간·전략 분야 이수자가 인식하는 훈련서비스 품질과 만족도, 고용가능성은 모두 4.1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분야별 차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 기간·전략 분야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신기술 각 4.31, 4.40, 4.11 / 기간·전략 각 4.51, 4.53, 4.31). 둘째, 신기술 분야는 훈련생이 인식하는 훈련서비스 품질의 6개 하위요인(훈련내용, 훈련방법, 훈련교사, 시설장비, 행정지원, 취업지원)만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모형을 형성한 반면, 기간·전략 분야는 훈련서비스 품질 6개 하위요인뿐만 아니라, 훈련생 개인 특성(성별, 연령), 훈련과정 특성(훈련시간), 훈련기관 특성(인증등급, 기관유령, 훈련규모) 등 대부분의 변인들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모형을 형성하고 있었다. 셋째, 신기술 분야는 고용가능성 영향 변인이 훈련서비스 품질의 3개 하위요인(취업지원, 훈련내용, 훈련방법)에 집중된 관계모형을 형성한 반면, 기간·전략 분야는 신기술 분야와 동일하게 3개 하위요인의 영향력이 높지만, 그 이외 훈련서비스 품질 하위요인(시설장비, 행정지원, 훈련교사)뿐만 아니라, 훈련생 개인(성별, 연령) 및 훈련과정(훈련시간), 훈련기관(인증등급, 훈련규모) 특성 등 다양한 변인들을 통해 고용가능성이 높아지는 관계모형을 형성하고 있었다.
주제어: 만족도, 고용가능성, 관계모형, 신기술, 기간·전략, 인력양성, 직업훈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