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과 진로에 관한
다각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삶의 질은 풍요롭게
삶의 태도는 진취적인
대한민국을 만들겠습니다.
Home ❯ 학회지 ❯ 취업진로연구 게재논문
취업진로연구 게재논문

감정노동 현장에서 개인성격특성이 정서조절책략에 미치는 영향

논문저자 : 정태욱, 윤종군        발행년도 : 2012년 12월        권 호 : 제2권 제2호       
DOI :

첨부파일

본문

본 연구는 감정노동 현장에서 회복탄력성, 통제소재, 정서조절책략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감정노동자들의 감정부조화 대처와 정서조절책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직무교육 및 상담프로그램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580명의 감정노동자들에게 회복탄력성 검사, 통제소재 검사 및 정서조절책략 검사를 실시하였다. 회복탄력성, 통제소재 및 정서조절책략 간의 관계분석을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회복탄력성과 통제소재 수준에 따라 정서조절책략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회복탄력성과 통제소재가 정서조절책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노동자의 회복탄력성과 통제소재 및 정서조절책략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회복탄력성이 높은 감정노동자 집단은 내면행동과 표면행동 모두에서 점수가 높았고, 내적 통제소재가 높은 집단은 표면행동 점수가 높았으며 외적 통제소재 수준이 높은 집단은 내면행동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복탄력성 및 통제소재는 정서조절책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하위변인 중 자기조절능력은 내면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대인관계능력과 내적 통제소재는 표면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논문에서 나타난 분석결과를 통해, 감정노동 현장에서 감정부조화에 대한 대처능력과 정서조절략에 영향이 미치는 회복탄력성과 통제소재 수준을 향상시키는 직무교육 및 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에 대한 기초자료가 제공되었으며, 개인 특성별, 수준별로 직무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을 달리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주제어:감정노동, 회복탄력성, 통제소재, 정서조절책략, 감정부조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한국취업진로학회의 게재논문입니다.
제목을 클릭하시면 국문초록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하단의 검색하기를 통해 발행년도, 논문제목, 저자, 국문초록내용으로 검색이 가능합니다.
Total 311건 27 페이지
취업진로연구 게재논문 목록
발행년도 권호 논문제목 논문저자 다운로드
2015년 9월 제5권 제3호 군 전역대상자의 취업률 제고를 위한 정책 및 제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상일,김형재,조익진,권혜정
2015년 9월 제5권 제3호 한국 대학생들의 해외 인턴쉽 활성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조은상,이영대,이종구,정지선
2015년 9월 제5권 제3호 평생교육기관 청년층 취업프로그램 수강자의 취업 성취욕구에 관한 연구 진서현,박찬수,채영일,이흥연
2015년 9월 제5권 제3호 한국 박사인력 실태 분석에 관한 소고 김영재,이주호,안정석,박연옥
2015년 9월 제5권 제3호 한국 베이비부머세대의 은퇴 후 인생 이모작을 위한 전자상거래무역분야 진출방안 연구 배경원,김학민,김홍유,류동희
2015년 9월 제5권 제3호 대학취업률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질적 차이 분석 이지훈,양동령,최성환
2015년 6월 제5권 제2호 한국대학생의 중소기업 입사 기피를 유발하는 정서ㆍ성격적 요인 탐색 양명주,김봉환
2015년 6월 제5권 제2호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과 고용가능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윤정혜
2015년 6월 제5권 제2호 다국적기업 역량중심인터뷰를 통한 최적의 인재확보 방안 한준기,김정한,이대성,홍승갑
2015년 6월 제5권 제2호 직무만족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김호원,오성욱,이재춘
게시물 검색

온라인 논문투고

온라인 논문심사

개재비, 회비안내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