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4년제 대학교육 도입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DOI :
첨부파일
본문
이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학에서 교육의 현장적합성을 제고하는 수단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epency Standard)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적용 방안을 제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조사를 통해 NCS의 우리나라 도입 배경과 개념 그리고 개발 현황과 시범운영 결과를 파악하였다. 그 다음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정책담당자 및 정부출연기관의 전문가, 대학 교수 등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대학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을 도입 또는 활용하는데 있어서의 제약요인을 파악하고 그 해소 방안을 도출하였다.
4년제 대학에서 NCS기반 교육과정의 개발·활용을 제약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먼저, 학문의 지식과 이론체계, 지식방법론 등에 더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학문 지향적 특성으로 나타났다. 현장의 실무직무능력의 표준화를 통해 현장기술인력이나 중견기술인력 양성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NCS기반 교육과정은 고급인력을 양성하는 4년제 대학 교육과정에는 그 적용이 적절하지 않다고 보기 때문이다. 두 번째 요인은 NCS기반 교육과정의 도입을 위해서는 기존 교육과정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와 교육과정 개편이 불가피한데 이로 인한 전공 불일치 해소와 교수인력의 충원, 교재개발, 전공 관련 시설 및 설비의 확보 등이 현실적 제약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제약요인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첫째, 4년제 대학에서의 NCS기반 교육과정이 기존 교육과정이나 인증시스템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보완한다는 관점에서 접근할 것을 제안하며, 둘째, 4년제 대학의 경우에는 전문대학 등 직업교육기관과는 달리 NCS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가 구조적, 의식적으로 어려우므로 지금처럼 소수의 과정을 NCS기반 교육과정으로 시범 개발하고 시범 적용하는데 그쳐서는 안 되며 보다 적극적인 유인책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주제어:교육의 현장적합성,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교육과정.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