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과 진로에 관한
다각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삶의 질은 풍요롭게
삶의 태도는 진취적인
대한민국을 만들겠습니다.
Home ❯ 학회지 ❯ 취업진로연구 게재논문
취업진로연구 게재논문

대학생의 취업준비 동기유발을 위한 학과단위 전공 취업교과목 효과분석

논문저자 : 안기돈 황명구        발행년도 : 2018년06월        권 호 : 제8권 제2호       
DOI :

첨부파일

본문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 높은 청년실업률과 낮은 대학 졸업생의 취업률에도 불구하고 지방 국립대학교 학생들의 취업준비 수준은 매주 낮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대부분의 학생들이 3학년 이후부터 취업준비를 시작하고 있으며,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율도 낮았다. 이처럼 대학생들이 취업준비에 소홀한 이유는 취업준비를 위한 동기유발 효과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취업지원 생태계 모형에서 강조하는 졸업생과 기업 등을 활용하여 생태계적으로 취업지원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학과단위 취업교과목 효과를 분석하여 학과단위 취업지원프로그램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충남대학교 경제학과 취업교과목의 3년간(20152017)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재 우리나라 대학생은 학점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취업지원프로그램을 취업교과목의 강좌내용에 포함하는 학과단위 취업교과목은 학생들의 참여율을 높이고 성실하게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취업준비에 대한 의지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취업교과목의 4개 세부 취업지원프로그램은 각각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기주도적인 참여를 요구하는 기업분석대회와 면접대회는 취업준비를 위한 동기유발 효과가 가장 컸다. 졸업생 취업특강은 동일 학과 졸업생의 특강이란 특성 때문에 학생들에게 자신감과 취업성공에 대한 강한 의지를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업분석대회와 면접대회의 경우 취업시장의 현실 및 자신의 취업준비 수준을 깨닫는 계기가 되어 취업준비를 더욱 열심히 하려는 동기까지 유발하는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학과단위 취업교과목을 통해 취업지원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대학생의 취업준비 동기유발을 위해 매우 효과적임을 시사해주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효과를 발생시키려면 학과 전체 교수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수조건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한국취업진로학회의 게재논문입니다.
제목을 클릭하시면 국문초록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하단의 검색하기를 통해 발행년도, 논문제목, 저자, 국문초록내용으로 검색이 가능합니다.
Total 318건 19 페이지
취업진로연구 게재논문 목록
발행년도 권호 논문제목 논문저자 다운로드
2019년 03월 제9권 제1호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상담이 전공일치 취업결정에 미치는 영향 이미선, 김한나
2019년 03월 제9권 제1호 취업성공패키지 참여자들의 단계별 통합적 취업지원 프로그램 경험과정에 대한 연구 이미림
2018년12월 제8권 제4호 항공서비스 전공대학생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명선 박수진 안성식
2018년12월 제8권 제4호 진로와 직업 분야 소명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현황분석 및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정지애 강혜영
2018년12월 제8권 제4호 대학생용 직업가치카드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문승규 이제경
2018년12월 제8권 제4호 외식전공 대학생들의 그릿(GRIT)이 취업 동기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정석 구영애 조아람
2018년12월 제8권 제4호 대학생의 자기관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승옥
2018년12월 제8권 제4호 일학습병행제의 HR효과: 횡단 참여기업과 종단 참여기업의 비용편익을 중심으로 성수현
2018년12월 제8권 제4호 대학생의 Egogram 자아상태,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간의 구조적 관계 유은경
2018년09월 제8권 제3호 특성화고 졸업생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연도별 비교를 중심으로 김지효
게시물 검색

온라인 논문투고

온라인 논문심사

개재비, 회비안내

회원가입